본문 바로가기

클래스4

[자바 객체 문법] this 키워드 "자바에서 this 는 '나 자신의 객체' 를 나타낸다." this가 사용되는 경우(사용될 수밖에 없는 경우)는 주로 3가지가 있다. 1. 클래스의 필드(=멤버변수, 전역변수)와 생성자/메소드의 파라미터(=매개변수)의 이름이 같을 경우 코드로 알아보는 것이 더 이해하기 쉽다... public class Car { String model; String color; int maxSpeed; Car(String model, String color, int maxSpeed) { // 좌변은 필드값, 우변은 파라미터값 this.model = model; // model = model 이라고 하면 에러난다. this.color = color; this.maxSpeed = maxSpeed; } } 2. 클래스 내부에.. 2020. 4. 18.
[자바 객체 문법] 필드 필드 (Field) 한마디 정리: "객체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 필드는 다른 말로 멤버변수, 전역변수라고 불린다. 클래스의 기본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필드, 메소드) 필드는 초기값을 지정해줄 수도, 안할 수도 있다. 코드짜는 방식을 한번 살펴보자... 차를 하나 만든다고 가정했을 때, 필드선언 1. 초기값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public class Car { String company; // 제조회사 String model; // 모델명 int maxSpeed; // 최고속력 } 이 필드는 객체 생성 시 기본 초기값으로 설정된다. String => null 배열 => null int => 0 boolean => false ....... 2. 초기값을 지정해줄 수도 있다. public cl.. 2020. 4. 18.
[자바 객체 문법] 객체 배열 객체 배열이란? "요소가 객체 형태인 배열" 즉, 객체 배열이란 "객체에 대한 레퍼런스(주소값)를 요소로 갖는 배열"이다. ex) Icecream이라는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객체 배열을 생성한다면 -> Icecream[] iceArr = {ice, ice2, ice3}; 여기서 ice, ice2, ice3의 3개 요소들이 모두 인스턴스 객체인 것 단계적으로 말하자면... (1) Icecream[] iceArr; // 객체 배열 생성 (인스턴스 객체의 주소값을 가진 배열 생성) (2) IceArr = new Icecream[]{ice, ice2, ice3}; // 배열 내 인스턴스 객체 생성 이런 식인 것 2020. 4. 17.
[자바 객체 문법] 클래스 "자바에서는 어떤 프로그래밍이든 클래스 안에 속해있다." 클래스 -한마디 정리: "사물(객체)을 만들기 위한 일종의 틀" ex) 붕어빵 만들기 붕어빵 틀 = 클래스 붕어빵 = 사물(객체) -사전적 정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와 그 조작 절차인 메소드를 정리한 객체의 추형을 정의한 것 '추상화'란? 한마디 정리: "사물(객체)의 공통된 특징과 행동들을 정의하는 것" 사전적 정의 :구체적 사물들의 공통된 특징을 파악하여 인식의 대상으로 삼는 행위 즉, 수많은 객체들 사이에서 공통된 특징을 뽑아내어 하나의 집합으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게 추상화라는 어감과는 상반되는 느낌의 정의여서 처음에는 다소 헷갈렸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추상'이라는 이미지 보다는, '대상의 정의, 구체화'라는 느낌 .. 2020.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