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보려고 정리한 Python1 [Python] 표기법(파스칼, 스네이크, 카멜) 1. 헝가리언 표기법 변수 및 함수의 이름 인자 앞에 데이터 타입을 명시하는 코딩 규칙 - 더이상 사용되지 않음 Windows API가 주로 이 표현법을 사용한다. - 장점 데이터 타입을 변수명에서 바로 추정할 수 있다. IDE가 없을 때 작업하는 경우 (특히 vi나 emacs로 터미널에서 작업할 때) 여러모로 유리해진다. 같은 의미를 가지는 서로 다른 타입의 변수가 있을 때 이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 단점 코드를 단번에 파악하기 힘들어진다. 변수나 함수 인자의 이름을 기억하기가 힘들다. 데이터 타입이 바뀌면 변수 또는 함수 인자의 이름을 바꿔야 한다(리팩토링을 지원하는 IDE가 없으면 답이 없다) 같은 의미를 가지는 서로 다른 타입의 변수가 있을 때 이것들을 왜 선언했는지를 잊어버렸다면 답이 없.. 2020. 9.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