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보려고 정리한 Linux Programming

[Linux] date 명령어

by nacastle 2020. 7. 6.

date

형식 : date [옵션] [+포맷]

사용예 : date +%Y%m%d

 

 포맷

(아래 괄호는 2013년 6월 2일 12시를 기준의 예입니다.

%a : 요일(일)

%A : 요일(일요일)

%B : 월(6월)

%c : 날짜와 시간(2013년 06월 02일 (일) 오후 12시 32분 45초)

%d : 그 달의 날짜(02)

%D : 날짜(06/02/13)

%e : 그날의 날짜(2)

%H : 시간(12)

%l : 시간 (12..오전 오후로 시간체크)

%m : 달(05)

%M : 분(32)

%p : 오전, 오후 (오후)

%r : 12시간 단위의 시간(오후 12시 32분 45초)

%s : 1970년 1월 1일부터 지나온 초(1370144177)

%S : 초(45)

%T : 24시간 단위의 시간(12:37:12)

%U : 일요일을 기준으로 한 그 해의 몇 번째 주인가를 표시(22)

%V : 월요일을 기준으로 한 그 해의 몇 번째 주인가를 표시(22)

%w : 일주일에서 몇 번째 날, 일요일이 0,토요일이 6(0)

%x : 전체 날짜(2013년 06월 02일)

%X : 전체시간(12시 39분 47초)

%y : 년도의 마지막 두 자리(13)

%Y : 년도(2013)

date 명령어는 주로 서버에서 백업할때 자주 사용됩니다. 백업하여 만들어질때 이름을 날짜,시간별로 하면 다른파일과

구분이 쉽기 때문입니다.



출처: https://leeahnlee.tistory.com/15?category=557208 []

반응형

'내가 보려고 정리한 Linux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release deploy distribute  (0) 2020.07.09
[Linux]  (0) 2020.07.08
[Linux] wc 명령어  (0) 2020.07.06
[Linux] " ' ` 그리고 $(달러)  (0) 2020.07.05
[Linux] 파이프(|)와 awk  (0) 2020.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