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상관모델링
- 상관 모델링이란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그 업무에 존재하는 무엇 (데이터) 에 대해 무슨 일이 행해지고 (프로세스) 있는지 또는 무슨 일 (프로세스) 에 의해 무엇 (데이터) 이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는 방법이다.
2. CRUD MATRIX (참고)
- CREATE의 "C", READ의 "R", UPDATE의 "U", DELETE의 "D"를 의미
상관 모델링: 엔터티와 프로세스, 혹은 데이터와 모듈들을 상관한...
업무에 모든 단위 프로세스들과 엔티티타입을 배열하고, CRUD를 표기한 이후 다음 사항을 점검하여야 한다.
1. 모든 엔티티 타입은 CRUD가 한 번 이상 표기되었는가?
2. 모든 엔티티타입에 "C"가 한 번 이상 존재하는가?
3. 모든 엔티티타입에 "R"이 한 번 이상 존재하는가?
4. 모든 단위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타입에 표기가 되었는가?
5. 두 개 이상의 단위 프로세스가 하나의 엔티티타입을 생성하는가?
cf) 클래스 구성요소: name, attribute, method
3. SW 개발 방법론(참고)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는 단계별 산출물뿐만 아니라 산출물은 누가 어떤 순서로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학교에서 배우는 소프트웨어 공학이 산업계에서 실무적으로 구현된 결과물이 개발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SDLC와 유사
- 폭포수 개발 방법론 : 선형 순차식
: 분석(what 필요한게 무엇인지) -> 설계(how 어떻게 개발한건지) -> 개발 -> 테스트 -> 이행 -> 운영 및 유지보수 **************앞으로 현업에서 계속 나올 구조
분석: 고객의 요구사항 분석
요구사항 추출(수집) -> 분석 -> 명세화 -> 검증 -> 관리
추출 방식: 사람으로부터(인터뷰), 문서로부터(이전에 만들어져있던 산출물들(인터넷 정보, 선임,동료's 문서 등)), 기존 시스템으로부터(경쟁사's 유사 시스템, 서비스)
요구사항은 - 무관심, 누락, 보류 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요구사항을 끊임없이 업뎃해야...!
기능
-핵심 기능: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하고 리스크가 큰 기능이 무엇인지?
-주요 기능:
-기타 기능
- 프로토 타입
- 나선형 모델
- 점진&반복 (모든걸 다 한꺼번에 분석, 설계 등등 하지말고 일단 빨리 뭔갈 해보고, 점점 구체화 시키는것)
- Agile
'내가 보려고 정리한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Entity, Attribute, 식별자 검증 (0) | 2020.06.02 |
---|---|
[DB] 코드 엔티티, 이력 엔티티 (0) | 2020.06.02 |
[DB] Data dictionary, Entity (0) | 2020.05.26 |
[데이터베이스] DML & TRANSACTION (0) | 2020.05.13 |
[데이터베이스] 서브쿼리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