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castle 2020. 6. 25. 23:49

 

 

 

 

 

간단히 말해서, 서블릿이란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입니다. 그런데 좀 더 들어가서 설명하자면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릅니다. 

그때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다음 페이지를 띄워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서블릿(Servlet)입니다. 그래서 서블릿은 자바로 구현 된 *CGI라고 흔히 말합니다.

 

WAS (Web Application Server)

웹서버: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해서 클라이언트에 응답

처리할 부분이 자바로 구성돼있기때문에 자바를 해석하는 역할이 WAS

 

web.xml : 웹을 시작할때 필요한 환경설정하는 파일

 

서블릿 자바 파일은 직접적인 접근이 불가...

WAS가 필요한건 .class 파일

.class 파일을 web 서버에 모아놔야.... 그건 WEB-INF 밑에 classes 폴더 밑으로 저장됨

 

sublet sublet-mapping

 

 

 

ex...

<servlet>

  <servlet-name>Hello</servlet-name> //servlet 이름 명시

  <servlet-class>servlet.HelloServlet</servlet-class> //패키지.클래스 이름을 등록 해줌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Hello</servlet-name> //servlet의 name을 매핑

  <url-pattern>/hello</url-pattern>  / 가 반드시 필요!! (주소 뒤에 값이라서)

  </servlet-mapping>



출처: https://sime.tistory.com/96 [심이 블로그]

 

- 설명

<servlet-name > : 임의의 이름을 만들어 줍니다.

<servlet-class> : 맵핑할 클래스 파일명을 패키지명을 포함하여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url-pattern> : servlet-class의 클래스를 맵핑할 임의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주의할 점은 '/'로 시작해야 합니다.

 

 

 

참고: https://blog.naver.com/software705/220516070435

반응형